LG TV에 무선 블루투스 이어폰 및 헤드폰 연결 가이드: 상세 방법 및 문제 해결

2025. 6. 23. 11:18·전자제품/티비(TV)
반응형

I. 서론

A. LG TV와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 연결의 장점

LG TV에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연결하여 사용하면 다양한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가장 큰 장점은 개인적인 시청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늦은 밤 다른 가족 구성원에게 방해를 주지 않고 TV를 시청하거나 , 고품질 헤드폰을 통해 더욱 몰입감 있는 사운드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선 없이 자유롭게 움직이며 TV 사운드를 즐길 수 있어 편리합니다.  

 

B. 본 가이드 소개

본 가이드에서는 LG TV와 블루투스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연결하는 전체 과정을 단계별로 상세히 안내합니다. LG TV의 webOS 버전에 따른 구체적인 연결 방법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연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 팁을 제공합니다. 나아가,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의 고급 활용법과 관련 기술 정보까지 포괄적으로 다루어 사용자가 LG TV에서 블루투스 오디오 기능을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II. 연결 전 준비 사항

A. 블루투스 이어폰/헤드폰 페어링 모드 설정하기

1. 페어링 모드의 중요성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TV에 연결하기 위한 가장 첫 번째이자 필수적인 단계는 해당 기기를 '페어링 모드(pairing mode)' 또는 '연결 대기 상태'로 만드는 것입니다. 페어링 모드는 블루투스 기기가 주변의 다른 기기(이 경우 LG TV)에게 자신을 알리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입니다. 많은 사용자가 이 단계를 간과하거나 자신의 블루투스 기기가 항상 자동으로 검색 가능할 것이라고 가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페어링 모드를 활성화하지 않으면 TV가 블루투스 기기를 찾을 수 없어 연결 자체가 불가능해집니다. 따라서 연결 실패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이 페어링 모드 설정 누락이므로, 연결 시작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2. 일반적인 페어링 모드 진입 방법

대부분의 블루투스 이어폰 및 헤드폰은 비슷한 방식으로 페어링 모드에 진입합니다.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원 버튼 길게 누르기: 기기의 전원이 꺼진 상태 또는 켜진 상태에서 전원 버튼을 몇 초간 길게 누르면 페어링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전용 페어링 버튼 누르기: 일부 기기에는 별도의 블루투스 페어링 버튼이 있어, 이 버튼을 누르면 페어링 모드가 활성화됩니다.
  • LED 표시등 확인: 페어링 모드에 진입하면 일반적으로 기기의 LED 표시등이 특정 색상(주로 파란색 또는 흰색)으로 깜빡이거나, 평소와 다른 패턴으로 점등됩니다. 이를 통해 페어링 모드 진입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주요 브랜드별 페어링 모드 상세 안내

주요 블루투스 이어폰/헤드폰 브랜드별 페어링 모드 진입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모델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방법은 해당 기기의 사용 설명서를 참고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LG 톤프리 (LG ToneFree):
    • 충전 케이스에 이어버드가 장착된 상태에서 덮개를 열면, 전면의 배터리 상태 표시등(주로 파란색)이 깜빡이며 페어링 모드로 자동 진입할 수 있습니다.  
       
    • 만약 표시등이 깜빡이지 않거나, 이미 다른 기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새로운 기기(TV)에 연결하고 싶다면, 왼쪽 또는 오른쪽 이어버드의 터치 패드를 3~5초간 길게 터치하여 수동으로 페어링 모드를 활성화합니다.  
       
  • 애플 에어팟 (Apple AirPods):
    • 에어팟 유닛을 충전 케이스에 넣고 덮개를 엽니다.
    • 케이스 뒷면에 있는 작고 둥근 설정 버튼을 상태 표시등이 흰색으로 깜빡일 때까지 몇 초간 길게 누릅니다. 이는 에어팟이 페어링 준비 상태가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 소니 블루투스 헤드폰 (Sony Bluetooth Headphones - 예: WH-1000XM 시리즈):
    • 헤드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전원 버튼을 약 5~7초간 길게 누릅니다.  
       
    • 전원이 켜지면서 "Power on"이라는 음성 안내 후에도 계속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Bluetooth pairing"이라는 음성 안내와 함께 표시등(파란색)이 두 번씩 반복적으로 깜빡이며 페어링 모드로 진입합니다.  
       
  • 보스 블루투스 이어폰/헤드폰 (Bose Bluetooth Earphones/Headphones):
    • 모델에 따라 페어링 버튼의 위치와 사용법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일부 이어폰 모델은 충전 케이스 내부에 있는 블루투스 버튼을 3~4초간 누르면 이어폰의 LED 불빛이 파란색으로 깜빡이며 페어링 모드가 됩니다.  
       
  • 기타 기기: 위에 언급되지 않은 브랜드나 모델의 경우, 해당 기기의 사용 설명서를 참조하여 정확한 페어링 모드 진입 방법을 확인해야 합니다.

B. LG TV webOS 버전 확인 방법

LG TV의 블루투스 연결 설정 메뉴는 탑재된 webOS(웹OS) 버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결 과정에서 혼란을 줄이고 본 가이드를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사용 중인 TV의 webOS 버전을 미리 확인해 두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webOS 버전은 일반적으로 다음 경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 리모컨의 설정(톱니바퀴 모양) 버튼을 누릅니다.
  2. 메뉴에서 [전체 설정] (또는 [고급 설정])을 선택합니다.
  3. [고객 지원] (또는 [일반] > ****) 항목으로 이동합니다.
  4. 해당 메뉴에서 **** 또는 이와 유사한 항목을 선택하면 모델명과 함께 webOS 버전 또는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버전을 미리 알지 못하더라도, 본 가이드에서 제시하는 여러 버전별 연결 방법을 순서대로 시도해 보면서 자신의 TV에 맞는 설정을 찾을 수 있습니다. webOS 버전 확인은 주로 특정 기능의 지원 여부나 문제 해결 시 참조 정보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III. LG TV와 블루투스 이어폰/헤드폰 연결 단계별 가이드

A. webOS 버전에 따른 상세 연결 방법

블루투스 기기를 페어링 모드로 설정했다면, 이제 LG TV에서 블루투스 연결 설정을 진행합니다. TV의 webOS 버전에 따라 메뉴 경로가 다르므로, 아래 안내를 참고하여 진행하십시오.

1. webOS 22 (2022년 이후 모델) 및 webOS 6.0 (2021년 모델)

최신 LG TV 모델에 주로 탑재되는 webOS 22 및 webOS 6.0 버전에서의 연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리모컨의 설정(톱니바퀴 모양) 버튼을 누릅니다.
  2. 화면에 나타나는 메뉴에서 [전체 설정]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3. [음향] 메뉴를 선택합니다.
  4. [소리 듣기] (또는 [출력 스피커 선택]) 항목을 선택합니다.
  5. [무선 스피커로 듣기] 옵션을 선택합니다.
  6. [블루투스 기기] (또는 **** 등 원하는 출력 방식)를 선택합니다.
  7. TV가 자동으로 주변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합니다.
  8. 검색된 기기 목록에서 연결하려는 블루투스 이어폰 또는 헤드폰의 모델명을 찾아 선택합니다.
  9. 선택하면 자동으로 페어링 및 연결이 진행되며, "연결됨" 또는 유사한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2. webOS 5.0 (2020년 모델) 및 이전 버전 (webOS 4.5 포함)

webOS 5.0 및 그 이전 버전(예: webOS 4.5)의 LG TV에서는 다음과 같은 경로로 블루투스 기기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  

 
  1. 리모컨의 설정(톱니바퀴 모양) 버튼을 누릅니다.
  2. 화면에 나타나는 메뉴에서 [전체 설정]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3. [음향] 메뉴를 선택합니다.
  4. [출력 스피커 선택] 항목을 선택합니다.
  5. [블루투스 기기 선택] 또는 [LG 사운드 싱크 / 블루투스] 항목을 선택합니다.
    • 만약 **[LG 사운드 싱크 / 블루투스]**를 선택했다면, 다음 화면에서 [기기 선택] 또는 **[기기 목록]**을 추가로 선택해야 할 수 있습니다.  
       
  6. TV가 주변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합니다.
  7. 검색된 기기 목록에서 연결하려는 이어폰/헤드폰의 모델명을 선택하여 연결을 완료합니다.

3. 구형 스마트 TV 모델 (2013~2014년)

2013년 또는 2014년에 출시된 일부 구형 LG 스마트 TV 모델의 경우, 블루투스 연결 방법이 다소 상이하며, 특정 하드웨어 요구 사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 :  

 
  1. 리모컨의 [스마트] 버튼 또는 [홈] 버튼을 눌러 홈 메뉴로 진입합니다.
  2. [음향] 메뉴로 이동하여 [출력 스피커 선택] 항목을 선택합니다.
  3. **[LG 사운드 싱크 [무선]]**을 선택하면 TV가 블루투스 기기 검색을 시작합니다.
  4. 이때, 연결하려는 블루투스 헤드셋이나 사운드바를 페어링 모드로 설정합니다.
  5. TV 화면에 연결 가능한 기기 목록이 표시되면, 원하는 기기를 선택하여 페어링을 시작합니다. 연결이 성공하면 화면 하단에 팝업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의 사항: 2013년 모델(예: 32LA6600, 60/55/50/47/42/32LA6230, 39LA6200, 32LN5700)과 2014년 모델 중 일부(예: 42/47/42LB5800, UB8200, UB8300)는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LG 정품 블루투스 동글(예: AN-MR400 또는 AN-MR500 매직 리모컨과 호환되는 동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델들은 TV 자체에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되어 있지 않거나 제한적인 기능만 제공할 수 있어, 별도의 동글을 USB 포트에 연결해야 정상적인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 사용이 가능합니다. 타사 USB 방식의 무선 동글은 지원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반드시 LG 정품 액세서리 사용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 하드웨어적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않으면, 소프트웨어 설정만으로는 블루투스 연결이 불가능하여 사용자가 불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소모할 수 있습니다.  

 

B. 표: LG TV webOS 버전별 블루투스 연결 메뉴 경로 요약

아래 표는 LG TV의 주요 webOS 버전별 블루투스 연결 메뉴 경로를 요약한 것입니다. 사용 중인 TV의 webOS 버전에 맞춰 해당 경로를 빠르게 참조할 수 있습니다.

webOS 버전 (대표 연도)메뉴 경로참고 자료
webOS 22 (2022년 이후) / 6.0 (2021년) 리모컨 설정 → [전체 설정] → [음향] → [소리 듣기] → [무선 스피커로 듣기] → [블루투스 기기] → 목록에서 기기 선택/연결  
webOS 5.0 (2020년) / 4.5 (2019년) 리모컨 설정 → [전체 설정] → [음향] → [출력 스피커 선택] → [블루투스 기기 선택] (또는 [LG 사운드 싱크 / 블루투스] → [기기 목록]) → 목록에서 기기 선택/연결  
구형 스마트 TV (2013년~2014년) 리모컨 스마트/홈 → [음향] → [출력 스피커 선택] → [LG 사운드 싱크 [무선]] → 목록에서 기기 선택/연결 (일부 모델은 정품 블루투스 동글 필요)  

 

 

이 표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TV 모델에 맞는 대략적인 메뉴 경로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연결 과정을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IV. 주요 블루투스 기기별 추가 연결 팁

일반적인 연결 방법 외에도, 특정 브랜드의 블루투스 기기는 고유한 페어링 특성이나 연결 시 주의사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

A. LG 톤프리 (LG ToneFree)

LG 톤프리 이어폰은 LG TV와의 호환성이 좋은 편입니다. 페어링 모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전 케이스 덮개를 열거나, 이어버드의 터치패드를 길게 눌러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TV에서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할 때 "LG ToneFree" 또는 유사한 모델명으로 표시되며, 일반적으로 별다른 문제 없이 연결됩니다.  

 

B. 애플 에어팟 (Apple AirPods)

애플 에어팟을 LG TV에 연결할 때는 몇 가지 유의사항이 있습니다. 에어팟은 애플 기기(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와의 강력한 생태계 연동성을 특징으로 하며, 이 점이 때로는 타사 기기 연결 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페어링 모드: 에어팟을 충전 케이스에 넣고 덮개를 연 상태에서, 케이스 뒷면의 작고 둥근 설정 버튼을 상태 표시등이 흰색으로 깜빡일 때까지 길게 누릅니다.
  • 연결 문제 발생 시: 에어팟이 이전에 연결되었던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등 다른 애플 기기에 자동으로 우선 연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TV에서 에어팟을 검색하거나 연결하려고 해도 실패할 수 있습니다. 해결책으로는, 해당 애플 기기의 블루투스 기능을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하거나, 해당 기기의 블루투스 설정에서 에어팟 연결을 해제한 후 LG TV와 다시 연결을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 에어팟 초기화: 문제가 지속될 경우 에어팟을 초기화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케이스 덮개를 연 상태로 뒷면 설정 버튼을 약 15초 이상, 상태 표시등이 황색으로 몇 번 깜빡인 다음 흰색으로 깜빡일 때까지 길게 누르면 초기화됩니다. 초기화 후 다시 페어링을 시도합니다.  
     

이러한 에어팟의 자동 재연결 특성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기능이지만, LG TV와 같은 비 Apple 기기와의 연결 시에는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연결 실패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 소니 블루투스 헤드폰 (Sony Bluetooth Headphones - 예: WH-1000XM 시리즈)

소니의 인기 블루투스 헤드폰 모델(예: WH-1000XM3, WH-1000XM4, WH-1000XM5 등) 역시 LG TV와 연결 시 몇 가지 팁이 있습니다.

  • 페어링 모드: 일반적으로 헤드폰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전원 버튼을 약 5~7초간 길게 누르면 "Bluetooth pairing"이라는 음성 안내와 함께 페어링 모드로 진입합니다.  
     
  • 기존 연결 확인: 소니 헤드폰도 이전에 다른 기기(스마트폰, PC 등)에 연결된 이력이 있다면, 해당 기기에서 먼저 연결을 해제하거나 블루투스 기능을 꺼야 TV와의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 연결 문제 시 초기화: 연결이 원활하지 않거나 문제가 지속될 경우, 헤드폰을 공장 초기화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초기화 방법은 모델별 설명서를 참조해야 하며, 초기화 후에는 모든 페어링 정보가 삭제되므로 TV와 다시 페어링해야 합니다. 소니 WH-1000XM 시리즈의 경우, 다른 기기와의 연결성이 강해 LG TV와 연결 시도 시 기존 페어링된 기기로 자동 연결되려는 경향이 사용자 경험을 통해 보고된 바 있으며 , 이 경우 헤드폰 초기화가 효과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D. 보스 블루투스 이어폰/헤드폰 (Bose Bluetooth Earphones/Headphones)

보스 제품의 경우, 모델마다 페어링 버튼의 위치나 작동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 페어링 모드: 일부 이어폰 모델은 충전 케이스 내부에 있는 블루투스 버튼을 3~4초간 눌러 페어링 모드를 활성화하며, 이때 파란색 불빛이 깜빡입니다. 헤드폰의 경우 전원 스위치를 블루투스 아이콘 쪽으로 밀고 잠시 유지하는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연결 문제 시: TV의 블루투스 기기 목록에서 해당 보스 제품을 삭제한 후 다시 등록하거나, 보스 기기 자체의 블루투스 연결 목록을 초기화하는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일부 모델은 충전 케이스 내부 버튼을 8~10초간 길게 눌러 연결된 모든 기기 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E. 기타 블루투스 스피커 및 사운드바 (LG 사운드 싱크 포함)

일반적인 블루투스 스피커나 타사 사운드바는 각 제품의 설명서에 안내된 표준 블루투스 페어링 절차를 따르면 됩니다. LG 사운드바의 경우, TV와의 연결 편의성을 위해 'LG 사운드 싱크(LG Sound Sync)'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LG 사운드바 모드 변경: LG 사운드바 리모컨의 '기능 선택' 또는 '입력 선택' 버튼을 반복적으로 눌러 사운드바의 표시창에 또는 (Bluetooth) 모드가 나타나도록 설정합니다.  
     
  • TV 설정: TV의 음향 출력 설정에서 [LG 사운드 싱크 [무선]] 또는 [LG 사운드 싱크 / 블루투스]를 선택하여 연결을 시도합니다. 구형 TV 모델과의 호환성을 높이기 위한 기능이므로, 해당 옵션이 보인다면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V. 자주 발생하는 문제 및 해결 방법

LG TV와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일반적인 문제 유형과 그 해결 방법입니다.

A. 블루투스 기기가 TV에 검색되지 않거나 페어링에 실패하는 경우

가장 흔하게 겪는 문제 중 하나는 TV가 블루투스 기기를 아예 찾지 못하거나, 찾더라도 페어링 과정에서 실패하는 경우입니다.

  • 1. 블루투스 기기의 페어링 모드 확인: 가장 먼저, 연결하려는 이어폰/헤드폰이 확실하게 페어링 모드(연결 대기 상태)에 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합니다. LED 표시등이나 음성 안내를 통해 확인하십시오.  
     
  • 2. 블루투스 기기 및 TV 재부팅: 블루투스 기기와 LG TV 양쪽 모두 전원을 완전히 껐다가 다시 켜보는 것이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일시적인 소프트웨어 오류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3. TV에서 블루투스 기능 재활성화: TV 설정 메뉴에서 블루투스 기능을 껐다가 다시 켜보는 것도 시도해 볼 만합니다. (Windows PC에서 블루투스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로 언급되지만 , TV에서도 유사한 접근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4. 거리 및 장애물 확인: TV와 블루투스 기기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면(일반적으로 10m 이내 권장) 신호가 약해져 검색되지 않거나 연결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두 기기 사이에 벽, 가구, 금속 물체 등의 물리적인 장애물이 있는지도 확인하고 제거합니다.  
     
  • 5. 주변 전파 간섭 확인: 블루투스는 2.4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데, 이 대역은 전자레인지, 무선 공유기(Wi-Fi), 일부 무선 전화기, 심지어 다른 블루투스 기기 등 다양한 장치와 공유됩니다. 이러한 기기들이 가까이 있으면 전파 간섭을 일으켜 블루투스 연결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TV와 블루투스 기기를 이러한 간섭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사용하거나, 간섭원의 전원을 잠시 꺼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특히, Wi-Fi 공유기가 2.4GHz 대역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면, 공유기 설정을 변경하여 다른 채널을 사용하거나, 가능하다면 5GHz 대역 Wi-Fi를 사용하도록 변경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용자 경험도 있습니다.  
     
  • 6. 블루투스 기기의 다른 연결 확인: 연결하려는 이어폰이나 헤드폰이 이미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른 기기에 자동으로 연결되어 있지는 않은지 확인합니다. 만약 다른 기기에 연결되어 있다면, 해당 기기의 블루투스 연결을 해제하거나 블루투스 기능을 끈 후 TV와 다시 연결을 시도합니다.  
     
  • 7. TV의 등록된 블루투스 기기 목록 확인/삭제: 이전에 TV에 여러 블루투스 기기를 연결한 적이 있다면, 기존 페어링 정보가 남아있어 새로운 기기 연결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TV의 블루투스 설정 메뉴로 들어가 '등록된 기기 목록' 또는 이와 유사한 항목에서 현재 사용하지 않거나 문제가 되는 기기를 찾아 '삭제' 또는 '등록 해제'한 후, 다시 페어링을 시도합니다.  
     
  • 8. PIN 코드 확인 (구형 기기): 매우 드물지만, 일부 구형 블루투스 기기는 페어링 시 PIN 코드 입력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기본 PIN 코드는 "0000" 또는 "1234"입니다. TV 화면에 PIN 코드 입력 창이 나타나면 해당 코드를 입력해 봅니다.  
     

B. 연결은 되었으나 소리가 나오지 않는 경우

TV와 블루투스 기기가 성공적으로 '연결됨'으로 표시되지만, 정작 소리가 이어폰/헤드폰으로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 1. TV 음량 및 음소거 확인: 가장 기본적인 확인 사항으로, TV의 볼륨이 너무 낮게 설정되어 있거나 음소거(Mute) 상태가 아닌지 확인합니다.  
     
  • 2. 블루투스 기기 자체 음량 확인: 연결된 이어폰이나 헤드폰 자체에도 볼륨 조절 기능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기기의 볼륨이 최소로 되어 있거나 음소거 상태가 아닌지 확인하고 조절합니다.  
     
  • 3. TV 오디오 출력 설정 재확인: TV의 음향 설정 메뉴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가 현재 연결된 블루투스 기기로 정확하게 선택되어 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합니다. 때로는 블루투스 기기가 등록은 되어 있지만, 실제 오디오 출력 장치로 활성화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 4. 블루투스 기기 재연결: TV의 블루투스 설정 메뉴에서 해당 기기를 '연결 해제'했다가 다시 '연결'을 시도해 봅니다.
  • 5. TV 및 블루투스 기기 재부팅: 양쪽 기기를 모두 재부팅하는 것도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C. 연결이 자주 끊기거나 불안정한 경우

블루투스 연결이 성공하더라도, 사용 중에 소리가 끊기거나 연결 자체가 불안정하게 유지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1. 원인: 다른 기기와의 자동 연결 간섭
    • 많은 블루투스 이어폰/헤드폰은 여러 기기와의 페어링 정보를 기억하고 있으며, 전원을 켜면 가장 최근에 연결되었거나 신호가 강한 기기에 자동으로 다시 연결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만약 TV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의 블루투스가 활성화되어 있다면, 이어폰/헤드폰이 해당 기기로 연결을 전환하려 하면서 TV와의 연결이 끊길 수 있습니다.  
       
    • 해결책: TV 시청 중에는 함께 사용하는 다른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블루투스 기능을 잠시 꺼두거나, 해당 기기의 블루투스 설정에서 현재 사용하는 이어폰/헤드폰의 페어링 정보를 '삭제' 또는 '등록 해제'합니다. 또는, 블루투스 이어폰/헤드폰 자체를 공장 초기화하여 모든 페어링 기록을 지우고 TV와만 새로 페어링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 2. 원인: HDMI eARC 또는 SIMPLINK(HDMI-CEC) 설정과의 충돌
    • 일부 LG TV 모델, 특히 사운드바 등 외부 오디오 시스템을 HDMI eARC(Enhanced Audio Return Channel)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블루투스 헤드폰 연결 시 오디오 출력 제어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TV가 블루투스 헤드폰으로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해도, eARC로 연결된 사운드바로 오디오 출력을 되돌리려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블루투스 연결이 몇 초 만에 끊기는 현상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이는 SIMPLINK(HDMI-CEC) 기능과도 연관될 수 있는데, 이 기능은 HDMI로 연결된 기기들이 서로 제어 신호를 주고받도록 허용합니다.  
       
    • 해결책: 이 경우, TV 설정 메뉴에서 SIMPLINK(HDMI-CEC) 기능 및 [자동 기기 감지]와 같은 HDMI 관련 편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한 후 블루투스 헤드폰 연결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메뉴 경로는 대략 [설정] → [연결] → 또는 [설정] → [일반] → [외부 기기 관리] 와 유사할 수 있습니다 (모델별 상이). 다만, eARC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SIMPLINK가 활성화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아, 블루투스 헤드폰 사용 시마다 이 설정을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를 수 있습니다. 이는 TV 펌웨어가 오디오 출력 우선순위를 처리하는 방식 또는 특정 기기 조합에서의 호환성 문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3. 원인: Wi-Fi 및 기타 무선 신호 간섭
    • 앞서 언급했듯이, 2.4GHz 대역을 사용하는 Wi-Fi 신호, 전자레인지, 무선 전화기 등은 블루투스 신호에 간섭을 일으켜 연결 끊김이나 불안정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해결책: TV나 블루투스 기기를 이러한 잠재적 간섭원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이동시킵니다. 사용 중인 Wi-Fi 공유기가 2.4GHz와 5GHz 대역을 모두 지원한다면, TV나 주변 기기들을 가능한 5GHz 대역 Wi-Fi에 연결하여 2.4GHz 대역의 혼잡도를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는, 2.4GHz Wi-Fi 채널을 덜 혼잡한 채널로 변경해 보는 것도 한 가지 방법입니다. 문제 해결을 위해 일시적으로 TV의 Wi-Fi 기능을 끄고 블루투스 연결 안정성을 테스트해 볼 수도 있습니다.  
       
  • 4. 블루투스 기기 또는 TV의 소프트웨어 문제
    • 때로는 블루투스 기기 자체의 펌웨어나 TV의 webOS 소프트웨어에 일시적인 오류나 버그가 있어 연결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해결책 (TV 하드 리셋): 가장 먼저 시도해 볼 수 있는 강력한 해결책 중 하나는 TV의 '하드 리셋'입니다. 이는 단순한 전원 ON/OFF보다 깊은 수준의 시스템 초기화를 유도합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TV의 전원 코드를 벽면 콘센트에서 완전히 분리합니다.  
         
      2. TV 본체에 물리적인 전원 버튼이 있다면, 그 버튼을 약 10~30초간 길게 누릅니다. 리모컨의 전원 버튼을 눌러도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TV 내부에 남아있는 잔류 전원을 방전시켜 메모리를 초기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3. 약 10분 이상 기다린 후, 전원 코드를 다시 콘센트에 연결하고 TV를 켭니다. 이 방법은 특히 LG OLED C2 모델 등에서 블루투스 연결이 '연결 해제 중...' 상태에서 멈추는 현상에 대해 사용자들이 효과를 보았다고 보고한 바 있습니다. 이는 TV의 블루투스 모듈이나 관련 소프트웨어가 비정상적인 상태에 빠졌을 때, 이를 초기화하여 정상 작동을 유도하는 원리입니다.  
         
  • 5. 블루투스 이어폰/헤드폰 배터리 부족 또는 충전 불량:
    • 블루투스 기기의 배터리가 부족하면 연결이 불안정해지거나 자주 끊길 수 있습니다. 기기를 충분히 충전한 후 다시 시도해 보십시오. 또한, 이어폰/헤드폰의 충전 단자나 충전 케이스의 단자가 오염되어 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수도 있으므로, 부드러운 마른 천으로 깨끗이 닦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6. 블루투스 모듈 자체의 문제 가능성:
    • 위에서 언급된 모든 방법을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지속된다면, TV 자체의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에 하드웨어적인 결함이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해결책: 이 경우 자가 해결이 어려우므로, LG전자 서비스센터에 문의하여 전문가의 점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D. 소리에 잡음이 들리거나 오디오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블루투스 연결은 되었으나 소리에 잡음이 섞여 나오거나 전반적인 오디오 품질이 만족스럽지 못할 수 있습니다.

  • 1. 거리 및 장애물, 전파 간섭 확인: 연결 불안정의 원인이 되는 요소들(거리, 장애물, 주변 전파 간섭)은 오디오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앞서 'C. 연결이 자주 끊기거나 불안정한 경우'의 3번 항목을 참조하여 해당 사항들을 점검합니다.  
     
  • 2. 블루투스 기기 송수신부 접촉 주의: 사용자의 몸 일부(예: 손)가 블루투스 이어폰/헤드폰의 안테나 부분이나 TV의 블루투스 모듈이 위치한 부분을 가리게 되면 신호 수신 감도가 떨어져 음질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기기를 벽이나 구석진 곳에 두는 것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3. 블루투스 코덱 확인: 블루투스 오디오는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압축 방식인 '코덱(Codec)'의 종류에 따라 음질과 지연율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TV와 블루투스 기기가 서로 지원하는 코덱 중, 상대적으로 음질이 낮은 코덱(예: SBC)으로 연결되었을 경우 음질 저하를 느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VII. 블루투스 오디오 코덱 간략 이해 참조).  
     
  • 4. 블루투스 기기 자체 문제: 동일한 블루투스 이어폰/헤드폰을 스마트폰이나 다른 기기에 연결했을 때도 유사한 잡음이나 음질 저하 문제가 발생하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다른 기기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나타난다면, TV보다는 블루투스 기기 자체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E. 표: 일반적인 블루투스 연결 문제 및 상세 해결책

다음 표는 LG TV 블루투스 연결 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문제들과 그에 대한 원인 및 해결책을 요약한 것입니다.

문제 증상 (Symptom)주요 원인 (Possible Cause)해결책 (Solution Steps)관련 자료
기기 검색 안됨 / 페어링 실패 페어링 모드 아님, 거리/장애물, 전파 간섭, TV/기기 소프트웨어 오류, 다른 기기에 이미 연결됨, (구형TV의 경우) 정품 동글 부재 또는 호환성 문제 1. 블루투스 기기가 페어링 모드인지 확인. 2. TV와 블루투스 기기 모두 재부팅. 3. TV와 기기 사이의 거리 단축 및 장애물 제거. 4. 주변 전파 간섭원(전자레인지, Wi-Fi 공유기 등)으로부터 멀리 이동. 5. 블루투스 기기가 다른 장치(스마트폰 등)에 연결되어 있다면 해제. 6. TV의 기존 블루투스 등록 기기 목록에서 해당 기기 삭제 후 재시도. 7. (구형 TV) 정품 블루투스 동글 필요 여부 및 올바른 장착 확인.  
연결 후 소리가 나오지 않음 TV 또는 블루투스 기기의 음량이 매우 작거나 음소거 상태, TV의 오디오 출력 설정 오류 1. TV 리모컨 및 블루투스 기기 자체의 볼륨 확인 및 조절. 2. TV 음소거 상태 해제. 3. TV의 [음향] 설정에서 [출력 스피커 선택] 또는 [소리 듣기] 메뉴가 해당 블루투스 기기로 정확히 설정되었는지 확인. 4. 블루투스 기기 연결 해제 후 재연결. 5. TV 및 블루투스 기기 재부팅.  
연결이 자주 끊기거나 불안정 다른 기기(스마트폰 등)로의 자동 연결 시도, HDMI eARC/SIMPLINK(CEC) 설정과의 충돌, Wi-Fi 등 주변 무선 신호 간섭, TV/기기 소프트웨어 오류, 블루투스 기기 배터리 부족 1. 주변 다른 기기의 블루투스 기능 끄거나, 해당 기기에서 이어폰/헤드폰 페어링 정보 삭제. 2. (eARC 사용 시) TV 설정에서 SIMPLINK(HDMI-CEC) 기능 비활성화 시도. 3. 전파 간섭원 제거, Wi-Fi 공유기 채널 변경 또는 5GHz 대역 사용 고려. 4. TV 하드 리셋(전원 코드 분리 후 방전). 5. 블루투스 기기 충분히 충전 및 충전 단자 청소. 6. 블루투스 이어폰/헤드폰 공장 초기화.  
소리에 잡음이 들리거나 음질 저하 거리/장애물/전파 간섭, 블루투스 기기 또는 TV 송수신부 가림, TV와 기기 간 낮은 품질의 오디오 코덱으로 연결됨 1. TV와 블루투스 기기 사이의 거리, 장애물, 전파 간섭 요인 재확인 및 개선. 2. 기기 사용 시 송수신부가 신체나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주의. 3. (고급 사용자) TV 및 블루투스 기기가 지원하는 오디오 코덱 확인 (본 가이드 VII 참조).  

 

 

이 표는 문제 해결을 위한 일반적인 지침이며, 특정 TV 모델이나 블루투스 기기에 따라 세부적인 해결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VI. 블루투스 오디오 고급 활용 팁

단순히 TV 소리를 블루투스 이어폰/헤드폰으로 듣는 것 외에도, LG TV는 몇 가지 유용한 블루투스 오디오 관련 고급 기능을 제공합니다.

A. TV 스피커와 블루투스 기기 동시에 소리 듣기

일부 LG TV 모델 및 webOS 버전에서는 TV 자체 스피커와 연결된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에서 동시에 소리가 나오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가족 구성원 중 청력이 약한 사람은 블루투스 헤드폰으로 크게 듣고, 다른 사람은 TV 스피커로 적당한 볼륨으로 함께 시청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 설정 방법: TV의 [음향] → [소리 듣기] (또는 [출력 스피커 선택]) 메뉴에서 또는 이와 유사한 이름의 옵션을 선택합니다.
  • 주의사항: 이 기능을 사용할 때, TV 스피커와 블루투스 기기 간에 미세한 소리 울림이나 지연(딜레이)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두 출력 장치 간의 신호 처리 시간 차이 때문일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면, TV의 [화면과 소리 맞춤] (또는 AV 싱크 조절) 기능을 사용하여 지연 시간을 조절해 볼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C' 항목 참조).  
     

B. 두 대의 블루투스 기기 동시에 연결하기 (webOS 6.0 이상)

webOS 6.0 이상의 최신 LG TV에서는 두 대의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예: 이어폰 2개 또는 이어폰 1개와 스피커 1개)를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기도 합니다. 이를 통해 두 사람이 각자의 블루투스 이어폰으로 같은 TV 프로그램을 시청하거나, 한 명은 이어폰으로, 다른 한 명은 블루투스 스피커로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 연결 방법: 일반적으로 첫 번째 블루투스 기기를 정상적으로 연결한 후, 동일한 TV의 블루투스 연결 메뉴([음향] > [소리 듣기] > [블루투스 기기])로 다시 진입하여 두 번째 기기를 추가로 검색하고 연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볼륨 조절: 두 대의 기기가 연결된 경우, 각 기기의 볼륨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옵션이 제공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특히 심야 시간에 두 사람이 함께 영화를 감상하거나, 각기 다른 청취 환경을 선호하는 사용자들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다만, 모든 webOS 6.0 이상 모델에서 완벽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지원되는지는 모델별 스펙을 확인하거나 실제 테스트를 통해 검증하는 것이 좋습니다.

C. 오디오 지연(딜레이) 문제 해결: 화면/소리 싱크 조절 기능 활용

블루투스로 오디오를 전송할 때는 약간의 신호 처리 시간이 소요되므로, TV 화면의 영상과 블루투스 이어폰/헤드폰에서 들리는 소리 사이에 미세한 시간 차이, 즉 오디오 지연(딜레이 또는 립싱크 불일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LG TV는 이러한 문제를 보정할 수 있는 '화면과 소리 맞춤' (또는 'AV 싱크 조절') 기능을 제공합니다.

  • 설정 경로 (webOS 버전에 따라 다름):
    • webOS 6.0 이후 모델: 리모컨의 [설정] 버튼 → [전체 설정] → [음향] → [사용자 고급 설정] → [화면과 소리 맞춤].  
       
    • webOS 5.0 이전 모델: 리모컨의 [설정] 버튼 → [전체 설정] → [음향] → [화면/소리 싱크 조절].  
       
  • 조절 방법:
    1. 해당 메뉴에 진입하면 일반적으로 **** 모드 옵션이 있습니다. 이 모드는 오디오 신호를 TV 내부 처리 과정 없이 최대한 빠르게 출력하여 지연을 줄이려는 시도입니다. 우선 모드를 켜거나 선택하여 지연 문제가 개선되는지 확인합니다.  
       
    2. 모드로도 만족스럽지 않다면, 해당 옵션을 끄고 **** 슬라이더나 수치 조절 항목(예: 0~15 또는 0~60 범위)을 이용하여 소리가 화면보다 늦게 나올 경우 값을 줄이거나, 소리가 화면보다 빠르게 나올 경우 값을 늘리는 방식으로 미세하게 조절하여 최적의 싱크를 맞춥니다. 값이 커질수록 음성 출력이 더 느려집니다.  
       

오디오 지연은 블루투스 기술의 본질적인 특성 중 하나이므로 완벽한 제로는 어려울 수 있지만,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체감하는 불편함을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습니다.

D. 게임 모드 설정과 오디오 지연 최소화

TV로 게임을 즐길 때, 화면 반응 속도뿐만 아니라 사운드의 즉각적인 피드백도 매우 중요합니다. LG TV의 [게임 최적화 모드] 또는 [게임 맞춤] 설정은 주로 영상 신호 처리 시간을 단축하여 입력 지연(인풋랙)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지만, 일부 음향 처리 과정도 간소화하여 전체적인 반응 속도 개선에 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습니다.  

 
  • ALLM (Auto Low Latency Mode): 최신 게임 콘솔(예: PlayStation 5, Xbox Series X/S)과 이를 지원하는 TV를 연결하면, TV가 게임 실행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별도의 수동 조작 없이 저지연 모드로 전환하는 ALLM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 블루투스 오디오의 한계: 그러나 블루투스 오디오는 무선 전송 과정에서 고유의 지연 시간(latency)을 가집니다. 따라서 TV의 게임 모드 설정만으로는 블루투스 이어폰/헤드폰 사용 시 발생하는 오디오 지연을 완벽하게 해소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특히 반응 속도가 중요한 리듬 게임이나 FPS 게임에서는 이러한 지연이 체감될 수 있습니다.
  • 저지연 코덱의 중요성: 오디오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TV와 블루투스 기기 양쪽 모두 aptX Low Latency와 같은 저지연 특화 코덱을 지원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지원 코덱 관련 내용은 다음 VII장 참조). 일부 블루투스 이어폰(예: LG 톤프리 UT90Q 모델의 플러그 앤 와이어리스 기능 사용 시 저지연 게임 모드 )은 자체적인 저지연 기술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만약 오디오 지연에 매우 민감하다면, 유선 이어폰/헤드폰 연결을 고려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게임 모드는 영상 지연 감소에는 효과적이지만, 블루투스 오디오 지연에 대해서는 그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고, 필요한 경우 다른 해결책을 함께 모색하는 것이 좋습니다.

VII. 블루투스 오디오 코덱 간략 이해

블루투스로 오디오를 전송할 때는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고 해제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때 사용되는 기술 규약을 '오디오 코덱(Audio Codec)'이라고 합니다. 어떤 코덱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음질, 지연 시간, 배터리 소모량 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A. 주요 코덱(SBC, AAC, aptX 등) 소개 및 음질/지연율에 미치는 영향

  • SBC (Subband Codec): 모든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가 의무적으로 지원해야 하는 가장 기본적인 코덱입니다.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의 기본 코덱으로, 별도의 라이선스 비용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압축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른 고품질 코덱에 비해 음질이 다소 떨어지거나 지연율(latency)이 높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170ms ~ 220ms). 하지만 최근에는 SBC 코덱의 구현 기술도 발전하여, 제조사의 최적화 수준에 따라 만족스러운 음질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 AAC (Advanced Audio Coding): MPEG에서 개발한 오디오 코덱으로, SBC보다 일반적으로 더 나은 압축 효율과 음질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애플의 아이폰, 아이패드, 에어팟 등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며, 이들 기기에서는 좋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안드로이드 기기에서도 AAC를 지원하지만, 운영체제나 기기 제조사의 구현 방식에 따라 인코딩 처리 성능이 달라져 음질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지연율은 SBC와 유사한 수준일 수 있습니다.  
     
  • aptX 계열 코덱 (aptX, aptX HD, aptX Adaptive, aptX Low Latency): 퀄컴(Qualcomm)에서 개발한 코덱들로, SBC보다 향상된 음질과 낮은 지연율을 목표로 합니다.  
     
    • aptX: CD 수준의 음질(16-bit/44.1kHz)을 목표로 하며, SBC보다 낮은 지연율(약 40ms 미만을 목표로 하는 aptX Low Latency의 경우, 일반 aptX는 그보다 높을 수 있음)을 제공하려 합니다.
    • aptX HD: 24-bit/48kHz의 고해상도 오디오 전송을 지원하여 더욱 향상된 음질을 제공합니다. 전송률은 최대 576kbps입니다.  
       
    • aptX Low Latency (LL):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오디오 지연을 최소화(40ms 미만 목표)하는 데 특화된 코덱으로, 영상 시청이나 게임 플레이 시 화면과 소리의 동기화에 유리합니다.  
       
    • aptX Adaptive: 주변 전파 환경이나 콘텐츠 유형에 따라 비트 전송률(279kbps ~ 860kbps 범위)과 지연 시간을 동적으로 조절하여 음질과 연결 안정성 사이의 균형을 맞춥니다. aptX HD와 aptX Low Latency의 장점을 결합하려는 시도입니다.  
       
    • aptX 계열 코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송신 기기(TV)와 수신 기기(이어폰/헤드폰) 양쪽 모두 해당 코덱을 지원해야 합니다.
  • LDAC: 소니(Sony)가 개발한 고음질 코덱으로, 최대 990kbps의 높은 비트 전송률과 24-bit/96kHz의 고해상도 오디오 전송을 지원합니다. 주로 소니 제품에 탑재되지만,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이상 버전에서는 기본 지원 코덱으로 포함되어 다른 제조사 기기에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코덱이 존재하며, 사용자가 어떤 코덱으로 연결되어 있는지에 따라 체감하는 음질이나 지연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블루투스 버전(예: Bluetooth 4.2, 5.0, 5.3) 자체보다는 실제 사용되는 오디오 코덱이 음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B. 내 LG TV의 지원 코덱 확인 방법

LG TV가 어떤 블루투스 오디오 코덱을 지원하는지 정확히 확인하는 것은 생각보다 간단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공식 스펙 확인: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LG전자 공식 웹사이트에서 사용 중인 TV 모델의 제품 상세 스펙 페이지를 확인하거나, TV 구매 시 제공된 사용 설명서를 참조하는 것입니다. 오디오 또는 연결성 관련 항목에 지원하는 오디오 코덱 목록이 명시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코덱: AAC, AC3 (Dolby Digital), apt-X (설명서 참조), EAC3, HE-AAC, MP2, MP3, PCM, WMA" 와 같이 표기된 경우가 있습니다.  
     
  • "apt-X (설명서 참조)"의 의미와 한계: LG TV 스펙에서 apt-X 코덱 지원 여부가 "설명서 참조(refer to manual)"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TV가 apt-X 코덱을 지원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지만, 정작 해당 모델의 사용자 설명서를 찾아보아도 구체적인 apt-X 버전(예: aptX HD, aptX Low Latency, aptX Adaptive)에 대한 정보가 없거나, apt-X 지원 자체가 명확히 언급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 부족은 특히 특정 오디오 성능(예: 저지연 게임 환경)을 기대하는 사용자에게는 아쉬운 부분입니다.  
     
  • webOS 개발자 모드 (일반 사용자에게는 해당 없음): 일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경우 '개발자 옵션' 메뉴를 통해 현재 블루투스 연결에 사용 중인 코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됩니다. 하지만 LG webOS TV에서는 일반 사용자가 이러한 방식으로 현재 활성화된 블루투스 코덱을 확인하는 직접적인 방법을 제공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실제 연결 및 청취: 현실적으로, TV와 블루투스 이어폰/헤드폰이 연결될 때 양쪽 기기가 공통으로 지원하는 코덱 중 일반적으로 가장 품질이 좋거나 안정적인 코덱이 자동으로 선택됩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코덱을 수동으로 선택하기는 어렵습니다.

결론적으로, LG TV의 정확한 블루투스 오디오 코덱 지원 정보, 특히 세부적인 apt-X 버전 확인은 공식 자료의 명확성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이 따를 수 있습니다.

표: LG 주요 TV 모델 블루투스 버전 및 알려진 코덱 지원 (예시)

아래 표는 몇몇 LG TV 주요 모델의 블루투스 버전과 공식 자료 또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통해 알려진 지원 오디오 코덱 정보를 정리한 것입니다. 이는 참고용이며, 정확한 정보는 반드시 해당 모델의 최신 공식 스펙을 확인해야 합니다.

TV 모델 시리즈 (대표 출시 연도)블루투스 버전주요 지원 오디오 코덱 (공식 자료 또는 리뷰 기반)참고 자료
LG OLED C3 (2023) 5.0 AAC, AC3, AC4, apt-X (설명서 참조), EAC3, HE-AAC, MP2, MP3, PCM, WMA, DTS:X (by-pass)  
LG QNED80 (2023) 5.0 AAC, AC3, AC4, apt-X (설명서 참조), EAC3, HE-AAC, MP2, MP3, PCM, WMA, DTS:X (by-pass)  
LG OLED C2 (2022) 5.0 AAC, AC3, AC4, apt-X (설명서 참조), EAC3, HE-AAC, MP2, MP3, PCM, WMA  
LG OLED G2 (2022) 5.0 AAC, AC3, AC4, apt-X (설명서 참조), EAC3, HE-AAC, MP2, MP3, PCM, WMA  

 

 

(참고: 위 표에서 "apt-X (설명서 참조)"는 해당 TV가 apt-X 코덱을 지원할 가능성이 있으나, 구체적인 apt-X 종류(예: HD, Low Latency 등)가 공식적으로 명시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DTS 오디오 코덱 지원 여부는 TV 모델의 출시 연도 및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일부 최신 모델에서는 DTS 지원이 제외될 수도 있습니다.)  

 

이 표는 사용자에게 자신의 TV 모델에서 기대할 수 있는 블루투스 버전과 코덱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apt-X (설명서 참조)"의 한계를 명확히 하여 현실적인 기대치를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VIII. 결론

A. 핵심 내용 요약

LG TV와 블루투스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성공적으로 연결하고 만족스럽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핵심 사항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첫째, 연결하려는 블루투스 기기를 페어링 모드로 정확히 설정하는 것이 모든 과정의 시작이자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둘째, 사용 중인 LG TV의 webOS 버전에 맞는 올바른 메뉴 경로를 따라 연결 설정을 진행해야 합니다. 셋째, 연결 과정이나 사용 중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는 당황하지 말고 본 가이드에서 제시한 일반적인 문제 해결 방법들(기기 재부팅, 거리/장애물 확인, 전파 간섭 최소화, TV 등록 기기 삭제 후 재시도, TV 하드 리셋 등)을 차분히 시도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단계적 접근법을 통해 대부분의 블루투스 연결 문제를 해결하고, 개인적인 시청 환경을 편리하게 구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

B. 추가 지원 정보

만약 본 가이드에서 안내한 모든 방법을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블루투스 연결 문제가 지속되거나, 특정 TV 모델 또는 블루투스 기기와의 호환성 문제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LG전자 고객센터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LG전자 고객센터 연락처: 대표적으로 1544-7777 등이 있으며, 지역별 또는 서비스 유형별 연락처는 LG전자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LG전자 고객지원 웹사이트: LG전자 웹사이트의 고객 지원 섹션에서는 모델별 사용 설명서, FAQ, 온라인 채팅 상담, 출장 서비스 예약 등의 다양한 지원 정보를 제공합니다.  
     

지속적인 문제 발생 시에는 자가 해결에 너무 많은 시간을 소모하기보다는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과 점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본 가이드가 LG TV에서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를 활용하는 데 유용한 정보가 되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전자제품/티비(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CL 대형 TV, 로컬디밍 기술로 화질 선명도 높여
  • 종합 가이드: 셋톱박스에 TV 두 대 연결하기
  • 스마트 TV 유튜브 끊김, 더 이상 답답해하지 마세요!
  • LG와 삼성 OLED TV 기술 비교 분석: 현재와 미래 전망
세지지
세지지
스마트폰, 노트북, 가전제품 등 다양한 디바이스의 리뷰와 사용기를 통해 제품 선택에 도움
    반응형
  • 인기 글

  • 최근 글

  • 블로그 메뉴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세지지
    LG TV에 무선 블루투스 이어폰 및 헤드폰 연결 가이드: 상세 방법 및 문제 해결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