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TV 모델명 완벽 해독 가이드: 최신 기술부터 숨겨진 의미까지

2025. 5. 9. 12:42·전자제품/티비(TV)
반응형

 

 

삼성전자 TV의 모델명은 언뜻 보기에 복잡한 암호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숫자와 알파벳의 조합에는 해당 TV의 핵심 사양과 정체성을 담고 있는 중요한 정보가 숨어있습니다. 삼성은 매우 다양한 종류의 TV 모델을 시장에 선보이고 있으며, 각 모델을 구별하고 그 특징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고유한 모델 번호, 즉 SKU(Stock Keeping Unit)를 부여합니다. 이 가이드는 소비자들이 삼성 TV 모델명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명한 제품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삼성 TV 모델명, 왜 중요할까요?

삼성 TV 모델명을 이해하는 것은 단순히 제품을 식별하는 것을 넘어, 소비자가 자신의 필요와 예산에 맞는 최적의 TV를 선택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모델명에는 스크린 크기, 디스플레이 기술(QLED, OLED, Crystal UHD 등), 출시 연도, 제품 등급, 주요 기능, 심지어 판매 지역까지 다양한 정보가 함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최신 기술이 적용된 고사양 모델을 원하는지, 아니면 기본적인 기능에 충실한 가성비 모델을 선호하는지에 따라 모델명의 특정 부분을 주목하여 제품을 비교하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델명을 통해 출시 연도를 파악함으로써 현재 구매하려는 제품이 최신 모델인지, 아니면 이전 세대 모델인지 알 수 있으며, 이는 가격 협상이나 기능 비교 시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TV 모델명은 일반적으로 제품 후면의 스티커나 TV 설정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TV의 경우, 리모컨을 사용하여 '설정' > '고객지원' > '본 TV 정보'(또는 유사한 경로)로 이동하면 모델 코드, 시리얼 번호 등 상세 정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TV의 사양을 정확히 파악하고, 더 나아가 현명한 구매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삼성 TV 모델명 구조 상세 분석

삼성 TV 모델명은 통상적으로 10자리 이상의 영문자와 숫자로 구성되며, 각 부분은 TV의 주요 특징을 나타냅니다. 국내 판매 모델을 기준으로 일반적인 구조를 살펴보고, 각 코드의 의미를 상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KQ85QD80AFXKR과 같은 형식을 들 수 있습니다.

① 라인업 (Lineup)

모델명의 가장 앞부분에 위치하는 두 개의 알파벳은 TV의 주요 라인업을 나타냅니다. 이는 삼성 TV 기술력의 집약도를 보여주는 첫 번째 지표가 됩니다.

  • KQ / QN: QLED 또는 OLED TV 라인업을 의미합니다. 삼성의 프리미엄 TV 제품군이 이 코드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국내 시장에서는 OLED TV도 KQ 또는 QN으로 시작하는 프리미엄 Q 시리즈에 통합되어 브랜딩되며, 이후 패널 종류 코드로 구분됩니다.  
     
  • KU: Crystal UHD TV 라인업을 지칭합니다. 선명한 화질과 스마트 기능을 갖춘 주력 UHD TV 제품군입니다.  
     
  • UN: FHD 또는 HD 해상도의 TV 라인업을 나타냅니다. 기본적인 기능에 중점을 둔 모델들이 이 코드를 사용합니다.  
     

과거에는 QLED 모델 중 2020년 이전 모델은 QN, 이후 모델은 KQ로 구분되기도 했으나 , 최근에는 QLED와 OLED를 포함하는 프리미엄 라인업 전반에 걸쳐 KQ 또는 QN이 혼용되어 사용되는 경향이 나타나므로, 정확한 기술은 이어지는 패널 종류 코드를 함께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② 화면 크기 (Screen Size)

라인업 코드 바로 뒤에 오는 두 자리 숫자는 TV 화면의 대각선 길이를 인치(inch) 단위로 표시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모델명에 '85'라고 적혀 있다면 85인치 TV를 의미합니다.  

 
  • 43인치: 약 108cm (가로 폭 기준)
  • 55인치: 약 138cm (가로 폭 기준)
  • 65인치: 약 163cm (가로 폭 기준)
  • 75인치: 약 189cm (가로 폭 기준)
  • 85인치: 약 214cm (가로 폭 기준)  
     

화면 크기는 TV 시청 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며, 모델명 앞부분에 명시되어 있어 소비자가 원하는 크기의 제품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합니다.  

 

③ 패널 종류 및 기술 관련 코드 (Panel Type and Technology-Related Codes)

화면 크기 다음에 오는 알파벳은 TV 패널의 종류 또는 적용된 핵심 디스플레이 기술을 나타냅니다. 국내 판매 모델의 경우 다음과 같은 규칙이 주로 적용됩니다.

  • U: LED 패널을 의미합니다. 주로 Crystal UHD 라인업에서 볼 수 있습니다.  
     
  • Q: QLED 패널을 의미합니다. 퀀텀닷 기술이 적용된 패널로, 넓은 색 영역과 높은 밝기를 특징으로 합니다.  
     
  • S: OLED 패널을 의미합니다. 자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완벽한 블랙과 뛰어난 명암비를 구현하는 패널입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KQ/QN 라인업에 'S' 코드가 결합되어 OLED TV임을 나타내는 반면 (예: KQS90D), 일부 해외 시장에서는 모델명 첫 글자가 'K'로 시작하여 OLED TV임을 명시하기도 합니다 (예: KN55S95B). 이러한 차이는 지역별 마케팅 전략 및 기존 제품 라인업과의 연계성 등을 고려한 결과로 볼 수 있으며, 국내 소비자는 KQ/QN 라인업 중 패널 코드가 'S'인지를 통해 OLED 제품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④ 출시 연도 (Year of Release)

패널 종류 코드 다음에는 제품의 출시 연도를 나타내는 알파벳이 위치합니다. 2020년부터 특정 알파벳을 사용하여 출시 연도를 표기하며, 최근 연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T: 2020년 출시
  • A: 2021년 출시
  • B: 2022년 출시
  • C: 2023년 출시
  • D: 2024년 출시  
     

그 이전 연도의 경우 F (2017년), N (2018년), R (2019년) 등의 코드가 사용되었습니다. 이처럼 일관된 알파벳 순서로 출시 연도를 표기함으로써 소비자는 모델명만으로 제품의 최신성 여부를 쉽게 가늠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신제품 구매 시 가격 및 기능 비교에 중요한 정보가 됩니다.  

 

⑤ 제품 등급 (Product Grade/Series)

출시 연도 코드 다음에는 제품의 등급 또는 시리즈를 나타내는 숫자와 알파벳 조합이 옵니다. 이 코드는 TV의 성능, 기능, 디자인 등 전반적인 사양 수준을 결정짓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국내 Crystal UHD 및 일반 LED 모델:
    • 60A / 65A / 67A: 보급형 (가성비 모델)
    • 70A: 중급형
    • 80A: 고급형
    • 90A: 프리미엄 최고급형 (하이엔드)  
       
    • 구형 모델의 경우 7000 (보급형), 8000 (중급형), 9000 (고급형)과 같은 숫자 시리즈를 사용했습니다.  
       
  • QLED 및 Neo QLED 모델:
    • QLED: Q60, Q70, Q80, Q90 등 숫자가 높을수록 고급형.  
       
    • Neo QLED: QN85, QN90, QN700, QN800, QN900 등 숫자가 높을수록 고급형이며, 특히 700, 800, 900번대는 8K 해상도 모델인 경우가 많습니다.  
       

제품 등급이 높을수록 해상도, 화질 엔진, 디밍 기술, HDR 성능, 사운드 시스템, 디자인 등에서 더 우수한 사양을 갖추게 되며, 이는 가격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예를 들어, 80A 등급의 Crystal UHD TV는 67A 등급보다 더 많은 기능과 향상된 화질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등급 체계는 소비자가 예산과 필요에 맞춰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과거의 순수 숫자형 등급 시스템(예: 7000 시리즈)에서 최근의 알파벳 혼용 시스템(예: 80A)으로 변화한 것은 더욱 세분화된 제품군을 구성하고, 동일 시리즈 내에서도 미세한 버전 차이를 반영하기 위한 노력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80A의 'A'는 해당 연도 80 시리즈의 첫 번째 버전을 의미하며, 스펙 변경 시 알파벳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이처럼 등급 표기 방식의 진화는 시장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려는 삼성의 전략을 반영합니다.  

 

또한, Crystal UHD의 80A 등급과 QLED의 Q80 시리즈처럼 각 라인업별로 등급 표기 방식은 다르지만, '숫자가 높을수록 고급 모델'이라는 기본 원칙은 일관되게 적용됩니다. 이는 소비자가 서로 다른 기술 라인업 내에서도 상대적인 제품 위치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⑥ 판매 국가 및 지역 코드 (Sales Country and Region Code)

모델명의 가장 마지막 부분은 해당 TV가 판매되는 국가 또는 지역을 나타내는 코드입니다. 국내 소비자에게 가장 중요한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FXKR: 대한민국 내수용 정식 발매 모델을 의미합니다. 이 코드가 있는 제품은 국내 A/S, 한국어 지원, 국내 방송 규격 및 서비스 호환성이 보장됩니다.  
     

해외 판매용 또는 기타 지역 코드는 다음과 같은 예시가 있습니다.

  • FXZA: 주로 북미(미국) 또는 기타 해외 시장 판매용 모델에 사용됩니다.  
     
  • 모델명 두 번째 글자로 지역을 표시하는 경우:
    • N: 북미 (North America)  
       
    • E: 유럽 (Europe)  
       
    • A: 아시아 (Asia)  
       
  • 모델명 마지막 부분 국가별 코드 예시:
    • ZC: 캐나다  
       
    • XU: 유럽/영국  
       
    • XY: 호주  
       

국내 소비자가 TV를 구매할 때는 반드시 'FXKR' 코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코드가 없는 제품은 해외 직구 제품이거나 병행수입 제품일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국내 정식 A/S가 어렵거나 일부 기능(예: 국내 방송 수신, 한글 자막 등)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삼성은 지역 식별을 위해 두 가지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모델명 초반부(주로 두 번째 글자)에 N(북미), E(유럽), A(아시아)와 같이 넓은 대륙별 지역을 표시하고, 모델명 마지막 부분에 FXKR(한국), FXZA(미국), ZC(캐나다) 등과 같이 보다 구체적인 국가 또는 판매 채널을 명시합니다. 이러한 이중 지역 코드 시스템은 광범위한 지역별 제품 기획과 특정 시장 재고 관리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⑦ 기타 식별자 (Other Identifiers - As Applicable)

위에 언급된 주요 코드 외에도 모델에 따라 추가적인 정보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 버전/세대 (Generation/Version): 제품 등급 숫자나 출시 연도 코드 뒤에 붙는 A, B, C 등의 알파벳은 해당 모델 라인업 내에서의 버전 또는 세대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80A에서 A는 80 시리즈의 첫 번째 버전임을 나타내며, 동일 스펙에서 버전업이 될 경우 알파벳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또한, QN65QN90DAFXZA와 같은 모델에서 출시 연도 D 뒤에 오는 A는 1세대 모델임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세대 코드는 동일 모델명 내에서도 미세한 내부 개선이나 변경 사항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튜너 타입 (Tuner Type): 일부 모델, 특히 해외 모델에서는 방송 수신 튜너의 종류를 나타내는 코드가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F는 북미 지역의 ATSC/QAM 방식, U는 유럽의 DVB 방식, G는 남미의 ISDB-T 방식을 의미합니다. 국내 판매용(FXKR) 모델은 국내 방송 표준(ATSC)에 맞춰져 있으므로 이 코드가 별도로 두드러지게 표기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해외 직구 등을 고려할 경우 이 튜너 코드는 국내 방송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정보가 됩니다.  
     
  • 디자인 코드 (Design Code): 주로 X로 표기되며, TV의 외형 디자인과 관련된 특정 코드를 나타냅니다. 대부분의 모델에서 X가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아, 표준 디자인을 의미하거나 특별한 디자인 변형이 없는 경우 기본값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러한 기타 식별자들은 일반 소비자에게는 그 의미가 크게 와닿지 않을 수 있지만, 제품의 미세한 차이를 구분하거나 특정 지역의 방송 환경 호환성을 확인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삼성 TV 모델명 해독표

다음은 삼성 TV 모델명의 주요 구성 요소를 요약한 표입니다. 이 표를 통해 다양한 모델명을 보다 쉽게 해독할 수 있습니다.

구분 (Category)코드 (Code)의미 (Meaning)예시 (Example)
라인업 (Lineup) KQ / QN QLED 또는 OLED 라인업 KQ, QN
  KU Crystal UHD 라인업 KU
  UN FHD, HD 라인업 UN
화면 크기 (Screen Size) 숫자 (예: 43, 55, 65, 75, 85) 인치 단위 화면 대각선 길이 85 (85인치)
패널 종류 (Panel Type) U LED 패널 U
  Q QLED 패널 Q
  S OLED 패널 (주로 KQ/QN 라인업과 결합) S
출시 연도 (Year) D 2024년 D
  C 2023년 C
  B 2022년 B
  A 2021년 A
  T 2020년 T
주요 제품 등급 (Key Product Grades) 90A / Q90 / QN90 / QN900 등 프리미엄 최고급형 90A, QN90D
  80A / Q80 / QN85 / QN800 등 고급형 80A, Q80D
  70A / Q70 / QN70 등 중급형 70A, Q70D
  60A / 65A / 67A / Q60 등 보급형 (가성비) 67A, Q60D
  7000 / 8000 / 9000 (구형) 보급형 / 중급형 / 고급형 8000
판매 국가 (Sales Country) FXKR 국내 판매용 FXKR
  FXZA 북미 또는 기타 해외 판매용 FXZA
Sheets로 내보내기

최신 삼성 TV 기술별 모델명 특징

삼성전자는 Neo QLED, QLED, OLED, Crystal UHD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적용한 TV를 선보이고 있으며, 각 기술별로 모델명에 특징적인 코드가 사용됩니다.

  • Neo QLED (Mini LED 기술): 삼성의 최상위 LCD 기반 TV 기술인 Neo QLED는 Mini LED 백라이트를 사용하여 뛰어난 명암비와 밝기를 구현합니다.
    • 모델명은 주로 라인업 코드 QN으로 시작하거나, 모델명 내에 QN을 포함합니다 (예: QN900D, QN90D). 여기서 'N'은 Neo QLED의 Mini LED 기술을 명확히 나타내는 식별자로 기능합니다.  
       
    • 숫자 부분(예: QN90, QN85, QN800, QN900)은 등급을 나타내며, 숫자가 높을수록 고급형입니다. 특히 QN800 또는 QN900 시리즈는 8K 해상도를 지원하는 플래그십 모델인 경우가 많습니다.  
       
    • 출시 연도 코드(D=24년, C=23년, B=22년, A=21년)와 결합되어 표기됩니다.  
       
  • QLED (일반 QLED): 퀀텀닷(Quantum Dot) 기술을 사용하여 풍부한 색 표현력과 높은 밝기를 제공하는 QLED TV는 삼성의 주력 프리미엄 라인업입니다.
    • 모델명은 라인업 코드 KQ로 시작하거나, 모델명 내에 Q를 포함합니다 (예: KQ75QD80, Q80D, Q70D, Q60D).  
       
    • 숫자 부분(예: Q60, Q70, Q80)이 등급을 나타내며, 숫자가 높을수록 고급형 모델입니다.  
       
    • 출시 연도 코드와 결합됩니다.
  • OLED: 자발광 픽셀을 통해 완벽한 블랙과 무한대에 가까운 명암비를 자랑하는 OLED TV는 최상의 화질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높습니다.
    • 국내 판매 모델의 경우, 프리미엄 라인업인 KQ 또는 QN에 패널 종류를 나타내는 S가 결합된 형태로 표기됩니다 (예: KQ65QS90D). 이는 OLED 기술을 기존의 강력한 'Q' 시리즈 브랜딩 내에 통합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패널 코드 'S'를 통해 명확히 구분됩니다.  
       
    • 일부 해외 모델에서는 모델명 첫 글자가 K로 시작하여 OLED TV임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예: KN55S95B).  
       
    • 숫자 부분(예: S90, S95)이 등급을 나타내며, 출시 연도 코드와 함께 표기됩니다.
  • Crystal UHD (LED): 합리적인 가격대에 선명한 4K UHD 화질과 스마트 기능을 제공하는 Crystal UHD TV는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라인업입니다.
    • 모델명은 라인업 코드 KU로 시작하거나, 모델명 내에 U를 포함합니다 (예: KU85UD8000, DU9000, CU8000).  
       
    • 숫자 부분(예: 7000, 8000, 9000 또는 70A, 80A)이 등급을 나타냅니다.  
       
    • 출시 연도 코드와 결합됩니다.

이처럼 각 기술별로 고유한 식별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소비자는 모델명만으로도 TV의 핵심 디스플레이 기술을 일차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Neo QLED의 QN900이 QN90보다 상위 모델이듯, 각 기술 카테고리 내에서도 숫자가 높을수록 더 고급 사양을 갖춘다는 일관된 등급 체계를 따르고 있어 상대적인 비교가 용이합니다.

실전! 삼성 TV 모델명 읽기 연습

지금까지 설명한 규칙들을 바탕으로 실제 삼성 TV 모델명을 해독하는 연습을 해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모델명에 담긴 정보를 파악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 예시 1 (최신 QLED - 국내용): KQ85QD80AFXKR  
    • KQ: QLED 라인업  
       
    • 85: 85인치 화면 크기  
       
    • Q: QLED 패널  
       
    • D: 2024년 출시  
       
    • 80A: 고급형 등급 (여기서 'A'는 80 시리즈의 특정 버전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FXKR: 국내 판매용  
       
    • 종합 해석: 2024년에 출시된 85인치 화면 크기의 고급형 QLED 패널을 사용한 국내 판매용 TV입니다.
  •  
  • 예시 2 (최신 Neo QLED - 해외 또는 일반적 표기): QN65QN90DAFXZA (여러 자료 종합 구성)
    • QN: 첫 번째 'Q'는 QLED 계열, 'N'은 북미 지역 코드 또는 Neo QLED 기술 자체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전체적인 맥락상 Neo QLED 라인업으로 해석합니다.  
       
    • 65: 65인치 화면 크기
    • QN90D: Neo QLED 90 시리즈, 2024년형 모델 (QN은 Neo QLED 기술, 90은 등급, D는 2024년 출시)
    • A: 버전/세대 (1세대)  
       
    • FXZA: 미국 판매용 (ZA=USA)  
       
    • 종합 해석: 북미 지역(미국)에서 판매되는 2024년형 65인치 Neo QLED 90 시리즈 1세대 TV입니다.
  • 예시 3 (Crystal UHD - 국내용): KU75UD7000FXKR (여러 자료 종합 구성, UD7000을 2024년형으로 가정)
    • KU: Crystal UHD 라인업  
       
    • 75: 75인치 화면 크기
    • U: LED 패널  
       
    • D: 2024년 출시 (모델명 패턴상 UD7000이므로 D로 가정. 실제 모델은 출시 연도 확인 필요. 만약 2023년형이라면 UC7000과 같이 표기될 수 있습니다.)
    • 7000: 보급형~중급형 등급  
       
    • FXKR: 국내 판매용  
       
    • 종합 해석: (2024년 출시로 가정 시) 75인치 화면 크기의 보급형~중급형 Crystal UHD LED TV (국내 판매용)입니다.

이러한 실제 예시를 통해 모델명의 각 부분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어떻게 조합되어 하나의 제품 정보를 전달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알파벳 'A'와 같이 위치에 따라 출시 연도(2021년), 제품 등급의 일부(예: 80A), 또는 세대(버전)를 나타내는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음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연습은 복잡한 모델명 체계를 이해하고 실제 구매 상황에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결론: 모델명 정보로 스마트한 TV 생활

삼성 TV 모델명은 처음에는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그 안에 담긴 규칙과 의미를 이해하고 나면 TV에 대한 매우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열쇠가 됩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이제 소비자들은 TV 모델명만 보고도 해당 제품의 라인업, 화면 크기, 적용된 핵심 기술, 출시 연도, 제품 등급, 그리고 판매 지역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되었을 것입니다.

이러한 지식은 단순히 정보를 아는 것을 넘어, TV를 구매할 때 수많은 선택지 앞에서 혼란을 줄이고 자신의 필요와 예산에 가장 적합한 제품을 고르는 현명한 결정을 내리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입니다. 또한, 현재 사용하고 있는 TV의 모델명을 통해 그 가치와 기능을 더 잘 이해하고, 향후 업그레이드 계획을 세우는 데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삼성 TV 모델명 해독 능력은 소비자가 기술 발전을 주체적으로 따라가고, 더 풍요롭고 스마트한 TV 생활을 누리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만약 특정 모델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삼성전자 공식 웹사이트나 고객센터를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항상 좋은 방법입니다.  

 

보고서에서 사용된 소스

 
반응형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전자제품/티비(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G전자 TV 모델명 완벽 가이드: 숨겨진 의미를 찾아서
  • 삼성 TV에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헤드폰 연결 완전 정복 가이드
  • LG와 삼성 TV 비교 분석 (2024-2025년 모델 중심)
  • tv 외장하드 연결후 예약녹화
세지지
세지지
스마트폰, 노트북, 가전제품 등 다양한 디바이스의 리뷰와 사용기를 통해 제품 선택에 도움
    반응형
  • 인기 글

  • 최근 글

  • 블로그 메뉴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세지지
    삼성전자 TV 모델명 완벽 해독 가이드: 최신 기술부터 숨겨진 의미까지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